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
파일: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로고.svg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 펼치기 · 접기 ]

대회 세부정보A조 · B조 · C조 · D조 · 결선 토너먼트· 선수 명단



파일: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로고.svg
올림픽 축구
파일: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jpg
대회기간1992년 7월 14일 ~ 8월 8일
본선 진출국16개국
우승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U-23 팀[1]
준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U-23 팀
3위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U-23 팀
득점왕파일:폴란드 국기.svg 안드제이 유스코비아크 | 7골
이전·이후 대회
1988년
서울
1992년
바르셀로나
1996년
애틀랜타

1. 개요
2. 경기장
3. 본선 진출국
4. 조 편성
4.1. 조 편성 결과
5. 선수 명단
6. 대회 진행
6.1. 16강 조별리그
6.2. 토너먼트
7. 최종 순위
8. 여담


1. 개요[편집]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 종목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올림픽 대회가 U-23 세계 선수권으로써 성격이 변화한 최초의 대회다. 또한 지금과 달리 와일드카드가 없는 순수 연령별 대표팀간의 경쟁으로 치러진 대회이기도 하다.


2. 경기장[편집]


  • 개최 경기장의 상세 소재지, 명칭, 규모 등은 다음과 같다.
도시경기장규모비고홈 팀
카탈루냐주
바르셀로나
캄 노우100,000석축구전용경기장FC 바르셀로나
에스타디 데 사리아[2]42,000석축구전용경기장RCD 에스파뇰
카탈루냐주
사바델
노바 크레우 알타16,000석다목적경기장CE 사바델 FC
발렌시아주
발렌시아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50,000석축구전용경기장발렌시아 CF
아라곤주
사라고사
에스타디오 라 로마레다43,001석축구전용경기장레알 사라고사

3.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유럽
(UEFA)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개최국1장7회1980은메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1992 UEFA U-21 챔피언십[3]우승4장11회1988금메달
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준우승9회1988금메달
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4위7회1972은메달
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5위[4]7회1976금메달
남미
(CONMEBOL)
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1992 CONMEBOL 프레-올림픽
토너먼트 파라과이
우승2장첫 진출--
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준우승4회1980조별
북중미
(CONCACAF)
파일:미국 국기.svg미국1992 CONCACAF 프레-올림픽 토너먼트 [5]우승2장10회19888강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준우승7회19764위
아프리카
(CAF)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아프리카 지역예선
최종예선 승자[6]3장3회19848강
파일:가나 국기.svg가나4회19728강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9회19844위
아시아
(AFC)
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아시아 지역예선
최종예선 1위[7]3장2회1984조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최종예선 2위4회19888강
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최종예선 3위2회19808강
오세아니아
(OFC)
파일:호주 국기.svg호주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오세아니아 지역예선[8]
우승1장3회19884위
UEFA-OFC 플레이오프승리[9]
  • 진출권 배분에 대륙간 플레이오프 개념이 도입되었다. 항상 온전한 1장의 출전권을 주기 애매하다고 평가되는 오세아니아에게 0.5장, 그리고 대회 개최국이 속한 대륙에 0.5장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처음 시행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선 유럽의 네덜란드와 오세아니아의 호주가 맞붙었다. 호주는 네덜란드와 2무승부를 거뒀고,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거해 가까스로 네덜란드를 제껴 2회 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4. 조 편성[편집]



4.1. 조 편성 결과[편집]


순번A조B조C조D조
1이탈리아스페인 (개최국)스웨덴덴마크
2미국콜롬비아파라과이멕시코
3폴란드이집트모로코가나
4쿠웨이트카타르대한민국호주
조추첨은 현지시각 1992년 5월 1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실시됐다.


5. 선수 명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16강 조별리그[편집]



6.1.1. A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A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21072+55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12034-14
3파일:미국 국기.svg미국11165+13
4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00316-50
결선 진출 | 탈락


6.1.2. B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B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30080+86
2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11123-13
3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10246-22
4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01249-51
결선 진출 | 탈락


6.1.3. C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C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12051+44
2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12031+24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0302203
4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01228-61
결선 진출 | 탈락


6.1.4. D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D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가나 국기.svg가나12042+25
2파일:호주 국기.svg호주11154+14
3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0303303
4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02114-32
결선 진출 | 탈락


6.2. 토너먼트[편집]


파일: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로고.svg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대진표
8강준결승동메달, 금메달 결정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 : 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
8/1 19:0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 : 0 가나 파일:가나 국기.svg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
8/5 19:00
금메달 결정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3 : 2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캄 노우)
8/8 20:0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2 (ET) 4 가나 파일:가나 국기.svg
(에스타디오 라 로마레다)
8/2 19:00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2 : 0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캄 노우)
8/1 21:30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6 : 1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캄 노우)
8/5 21:30
동메달 결정전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1 : 0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캄 노우)
8/7 20:00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 : 2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캄 노우)
8/2 21:30




6.2.1. 결선 토너먼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10]비고
1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6600142+1212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금메달
2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6411176+119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은메달
3파일:가나 국기.svg가나632196+38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동메달
4파일:호주 국기.svg호주6213812-454위
5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412163+348강
6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41215504
7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420235-24
8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411225-33
9파일:미국 국기.svg미국311165+13조별리그
10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30303303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0302203
12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310246-22
13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302114-32
14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301249-51
15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301228-61
16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300316-50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첫번째 우승

8. 여담[편집]


  • 개최국 스페인이 전승으로 올림픽 축구 금메달을 사상 최초로 획득했다. 특히 1920년 이래로 무려 72년만에 딴 축구 종목 메달이었다. 이후 혈이 뚫렸는지 스페인은 타 유럽국가들과 달리 올림픽 본선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또한 가나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아프리카 국가로는 첫 올림픽 축구에서 메달을 딴 국가가 되었다. 이 대회 이후 아프리카 돌풍은 올림픽에서 거세져 1996년 나이지리아와 2000년 카메룬이 연거푸 금메달을 차지하고, 나이지리아가 2008년 은메달, 2016년 동메달을 차지하는 등 올림픽에서 단골로 메달 획득을 하고 있다. 연령별 대회로 대회 성격이 변화한 것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1:42:43에 나무위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올림픽 첫 우승[2] 현재는 철거됨[3] 대회 예선 기준으로 21세, 즉 본선 대회에 23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 개최국 없이 홈앤드 어웨이로 진행되었다.[4] 대회 3위가 스코틀랜드였기 때문에, 단일팀 구성을 하지 않던 당시 영국이 올림픽 출전권을 포기했고, 이로 인해 8강 탈락국 4개팀의 예선 조별리그와 8강 성적을 종합해서 순위를 매겨 폴란드가 5위 자격을 얻고 출전권을 승계했다. 또한 6위 자격을 얻은 네덜란드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5] 개최국 없이 홈앤드 어웨이 풀리그로 진행되었다.[6] 당시만 해도 아프리카 예선은 완전 토너먼트 방식이었다. [7] 최종예선에 진출한 6개국이 말레이시아에 모여서 풀리그 형식으로 대회를 치뤘다.[8] 4개국 더블 풀리그로 치러졌다.[9] 유럽 6위 네덜란드와 홈 앤드 어웨이 경기에서 2무, 합계 3-3에 원정골에서 2-1로 앞서 승리했다.[10] 승부차기 승리 및 패배는 무승부로 처리한다.